경제 회복을 위한 대규모 소비 지원 정책으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민생회복 소비쿠폰이 시행됩니다. 소상공인과 자영업자의 매출 증대를 돕고 소비 활성화를 통한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하는 이번 정책의 세부 내용을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지원 대상 및 금액 체계
이번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되, 소득 수준과 거주 지역에 따라 차등 지급됩니다. 기본적으로 1차와 2차로 나누어 지급되며, 개인별 최대 55만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구분 | 상위 10% | 일반국민 | 차상위·한부모가족 | 기초수급자 |
---|---|---|---|---|
1차 선지급 (비수도권/농어촌 인구감소지역) |
15만원 (+3만원/+5만원) |
15만원 (+3만원/+5만원) |
30만원 (+3만원/+5만원) |
40만원 (+3만원/+5만원) |
2차 추가지급 | – | +10만원 | +10만원 | +10만원 |
최종 합계 (비수도권/농어촌 인구감소지역) |
15만원 (18만원/20만원) |
25만원 (28만원/30만원) |
40만원 (43만원/45만원) |
50만원 (53만원/55만원) |
지역별 추가 지원 혜택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거주 지역에 따른 추가 지원이 제공됩니다:
- 비수도권 거주자: 기본 금액에 3만원 추가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거주자: 기본 금액에 5만원 추가
농어촌 인구감소지역은 총 84개 시·군으로, 강원도 12개, 전남 16개, 경북 15개, 경남 11개 지역 등이 포함됩니다.
구분 | 농어촌 인구감소지역 (84개) |
---|---|
대구 (총 1개) | 군위군 |
인천 (총 2개) | 강화군, 옹진군 |
경기 (총 2개) | 가평군, 연천군 |
강원 (총 12개) | 고성군, 삼척시, 양구군, 양양군, 영월군, 정선군, 철원군, 태백시, 평창군, 홍천군, 화천군, 횡성군 |
충북 (총 6개) | 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영동군, 옥천군, 제천시 |
충남 (총 9개) | 공주시, 금산군, 논산시, 보령시, 부여군, 서천군, 예산군, 청양군, 태안군 |
전북 (총 10개) | 고창군, 김제시, 남원시, 무주군, 부안군, 순창군, 임실군, 장수군, 정읍시, 진안군 |
전남 (총 16개) | 강진군, 고흥군, 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영광군, 영암군, 완도군, 장성군, 장흥군, 진도군, 함평군, 해남군, 화순군 |
경북 (총 15개) | 고령군, 문경시, 봉화군, 상주시, 성주군, 안동시, 영덕군, 영양군, 영주시, 영천시, 울릉군, 울진군, 의성군, 청도군, 청송군 |
경남 (총 11개) | 거창군, 고성군, 남해군, 밀양시, 산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
신청 일정 및 방법
신청 기간
- 1차 지급: 2025년 7월 21일(월) ~ 9월 12일(금)
- 2차 지급: 2025년 9월 22일(월) ~ 10월 31일(금)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
- 카드사 홈페이지, 앱, 콜센터, ARS 이용
- 지역사랑상품권 앱 또는 홈페이지
- 카카오뱅크, 케이뱅크, 토스 등 간편결제 앱
오프라인 신청
- 제휴은행 영업점 방문
-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거동 불편자를 위한 찾아가는 신청 서비스
신청 시 요일제 적용
원활한 신청을 위해 첫 주(7월 21일~25일)에는 출생년도 끝자리 기준으로 요일제가 적용됩니다: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일요일 |
---|---|---|---|---|---|
1, 6 | 2, 7 | 3, 8 | 4, 9 | 5, 0 | 모두 가능 (오프라인 제외) |
수령 방법 및 사용처
수령 방법 선택
- 신용·체크카드: 기존 보유 카드에 충전금 형태로 지급
- 선불카드: 별도 발급되는 선불카드로 지급
- 지역사랑상품권: 지류형, 모바일형, 카드형 중 선택
사용 가능한 곳
- 지역사랑상품권: 해당 지역 가맹점
- 신용·체크·선불카드: 연 매출액 30억원 이하 매장
사용 기한
모든 형태의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2025년 11월 30일(일)까지 사용해야 하며, 기한 내 미사용 시 소멸됩니다.
외국인 및 해외 체류자 신청 조건
외국인의 경우 원칙적으로 지급 대상에서 제외되지만, 다음 조건을 만족하면 신청 가능합니다:
- 내국인이 포함된 주민등록표에 등재되어 있고 건강보험 가입자인 경우
- 영주권자(F-5), 결혼이민자(F-6), 난민인정자(F-2-4)로서 건강보험 가입자인 경우
해외 체류 중인 국민은 6월 18일부터 9월 12일 사이에 귀국한 경우, 출입국사실 확인 및 이의신청을 통해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사전 알림 서비스
7월 14일부터 네이버, 카카오톡, 토스 등 17개 모바일 앱이나 국민비서 홈페이지에서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7월 19일에 개인별 지급 금액과 신청 방법을 미리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FAQ(자주 묻는 질문)
Q1. 차상위계층 여부나 거주지역 추가 지원 대상인지 어떻게 확인하나요?
A: 7월 14일부터 제공되는 사전 알림 서비스를 통해 개인별 지급 금액을 미리 확인할 수 있습니다. 17개 모바일 앱이나 국민비서 홈페이지에서 신청하면 7월 19일에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Q2. 미성년 자녀도 별도로 지급받을 수 있나요?
A: 네, 미성년 자녀(2007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도 지급 대상입니다. 주민등록상 세대주 명의로 신청할 수 있으며, 온라인과 오프라인 모두 가능합니다.
Q3. 신청 마감일을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A: 1차는 9월 12일 오후 6시, 2차는 10월 31일까지 신청해야 합니다. 마감 시한이 지나면 신청이 불가능하므로 반드시 기간 내에 신청해야 합니다.
Q4. 카드 충전 방식과 상품권 방식 중 어떤 것이 더 유리한가요?
A: 사용 편의성 면에서는 카드 충전이 유리하지만, 지역 상권 지원 효과는 지역사랑상품권이 더 큽니다. 개인의 소비 패턴과 거주 지역 상황에 따라 선택하시면 됩니다.
Q5. 사용 기한 내에 다 쓰지 못하면 연장이 가능한가요?
A: 11월 30일까지 사용하지 못한 금액은 소멸되며, 연장이나 환급은 불가능합니다. 소비 촉진을 위한 정책 목적상 사용 기한이 엄격하게 적용됩니다.
민생회복 소비쿠폰은 경제 회복과 소상공인 지원을 위한 중요한 정책입니다. 신청 기간과 사용 기한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시고, 개인 상황에 맞는 수령 방식을 선택하여 적극 활용하시기 바랍니다.